이 기사 제목들을 한번 보시죠. <br /> <br />미국과 무역거래를 하면서 적자를 봤다는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다만 흑자의 증가폭이 줄면서 흑자를 많이 낸 국가 순위에서 더 밑으로 밀렸다는 얘기죠. <br /> <br />보시면 어느 정도 바뀌었을까요. <br /> <br />한번 숫자로 계산을 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35조 원 정도 흑자를 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다른 나라들 평균이 한 18.4% 정도 흑자가 늘었는데 우리만 왜 미국에서 16.3%밖에 안 늘었느냐. <br /> <br />그러니까 순위가 밀렸다라고 하는 거죠. 이게 이 전에 워낙 많이 늘었기 때문에 기저효과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마는 한 가지 좀 따져볼 게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사이가 나쁜 중국이 왜 미국에서 엄청난 흑자를 기록해서 1위가 됐을까. 그 까닭은 뭘까? <br /> <br />한번 보십시오. <br /> <br />2020년 1월달에 미국하고 중국하고 무역 갈등을 계속 겪다가 드디어 합의를 봤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중국이 미국 물건을 많이 사주겠다고 약속을 했는데 62%밖에는 이행하지 않았다라고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중국은 무역 보복을 다시 받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어떻게 할까요? <br /> <br />5년 전 기사 제목을 한번 읽어보겠습니다. 중국 흑자를 너무 내서 흑자를 다시 조절하는가. <br /> <br />왜 미국산 원유를 10배나 더 수입해 가지라고 하는 게 2017년 기사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이 방법을 또 동원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너무 중국만 이득을 챙겨간다고 미국이 또 보복할 수 있으니까요. <br /> <br />그러나 문제는 이게 중국만의 얘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 얘기가 됩니다. <br /> <br />한번 보십시오. 미국이 2016년부터 석유와 셰일가스를 캐내서 팔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가 미국산 원유 수입국 중에서 2위가 된 게 2019년이죠. 지금 어떻게 변했느냐. <br /> <br />중동에서 35년 만에 최저 수입, 미국에서 역대 최고 수입. 원유 수입선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미국이 석유와 가스를 캐내 수출을 시작하면서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늘려가지고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폭을 조절하고 조절해서 낮추는 게 주요 교역국들의 처지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흑자폭을 줄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? <br /> <br />대미 무역 흑자가 너무 크거나 경상수지 흑자가 너무 크거나 아니면 계속 외환시장에 개입해서 달러하고의 환율을 조정하거나 이러면 미국의 무역 촉진법에 의해서 걸립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무역보복을 당하게 되는 거죠. 지금 우리는 여기에 해당되고요. <br /> <br />중국, 일본, 한국, 독일 다 여... (중략)<br /><br />YTN 변상욱 (byunsw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1420324327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